목재와 나무

[스크랩] 라우터에 대해서 (펌글)

지량 2011. 2. 19. 20:34

안녕하세요.

라우터에 대한 글을 올릴수 있게 해주신 홈페이지 관리자분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뭐 전문가는 아니고, 라우터도 많이 사용해 보지는 않았습니다만, 그래도 라우터를 처음 접하는

분들, 특히 공방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고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

니다. 이 글은 제가 오래전에 블로그에 올렸던 글인데, 그대로 올리려니 쑥스러운 문구들이 많아서 조금

 수정하여 올립니다. 시간이 되는대로 앞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목공을 하시는 많은 분들이 공감하시겠지만, 라우터는 그 활용도가 상당히 많고 가구를 만드는데 없어

서는 안될 중요한 공구입니다. 네모 반듯한 테이블 상판의 옆면을 개인의 취향에 맞는 모양으로 가공할

수도 있고, 홈을 파거나,  여러가지 결합기법에도 두루 사용이 됩니다. 제가 모르는 활용법도 상당히 많

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라우터는, 하지만, 기본적인 지식과 안전에 대

한 개념이 없이 사용하게 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적절한 사용법을 터득하고, 안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후에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러가지 알아야 할 사항들 중에서, 기본중의 기본, 라우터가 무엇이며, 어떠한 주변기

기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선 대표적으로 라우터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 타입으로 나뉘어 집니다. plunge base와 fixed base

라우터가 그것입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해서, plunge 라우터는 작업도중에 비트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

하고, Fixed 라우터는 높이조절을 가공중에 할수 없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신만의 작업스타일에 맞

게, 플런지 라우터와 Fixed 라우터 등 여러개를 가지고 있으면 좋겠지만, 한대를 장만한다면 우선 플런

지 라우터를 구입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1. Plunge 라우터

아직 여러가지 형태의 많은 작업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제가 느낀 플런지 라우터의 장점은 뭐니뭐니해

도 홈을 팔때에 높이를 아주 쉽게 조절하면서 원하는 깊이까지 팔수가 있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파고자 하는 홈이 약 15mm라면(만약 장부구멍을 낸다 치면 훨씬 더 깊어질 수도 있겠죠), 비

트 높이를 15mm로 세팅해 놓고 한번에 쭉 파는 사람은 아마 없을겁니다. 저처럼, 단순한 생각에 그렇게

 시도해보는 사람도 있겠지만요..소나무 같은 소프트 우드라면 가능하기도 하겠지만 바람직 하지 않습

니다. 약 5~6미리(물론 비트나 다른 환경에 의해 차이가 있겠지만)씩 세번에 걸쳐서 파는것이 비트를

위해서, 안전을 위해서 좋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더 여러번에 걸쳐서 가공하는 것이 좋겠죠. 한번에

2~3mm씩 가공을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그건 뭐 전적으로 개인의 선택이리라 생각됩니다.

이런 작업을 할때, 플런지 라우터라면, 플런지라우터의 고유기능인 깊이 멈춤 장치를 이용해서, 가공깊

이를 15mm로 세팅해 놓고, 플런지 잠금기능을 이용해서 비트를 5mm씩 손쉽게 내려가면서 세번에 걸

쳐서 쉽게 팔수가 있습니다. 물론 fixed based 라우터로도 세번에 걸쳐서 높이 조절을 해서 할수는 있

지만, 무척 번거로운 일이기도 하고, 똑같은 15mm 깊이의 가공을 여러군데 한다면 무척 머리아픈 일이

기도 하고 여러개의 홈이 똑같이 15mm로 가공이 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또다른 장점은 안전하다는 것입니다. 저의 미천한 경험으로 안전하다 함은, 예를 들어, 홈을 하나 파고

 다음 홈 파기 전까지, 작업할때 내려가 있던 비트를 손쉽게 올려서 제자리에 놓아 둘수(비트가 라우터

베이스 안쪽으로 가 있는 상태) 있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왜 있잖습니까..전동공구 사고의 대부분은 작

동시가 아니고, 전원을 끈 다음 날이 정지하기까지의 순간 방심으로..^^..

또한 플런지 라우터 하나로 라우터 테이블용으로도 쓰실 계획이라면 micro adjuster 기능이 있는 것이

좋겠죠.(위 두가지 플런지 라우터는 모두 이 기능이 있습니다. 사진으로 보기에 오른쪽편에, 보쉬것은

둥근 막대 윗부분에 눈금있는 부분 있죠? 그리고 마키다 것은 오른쪽에 은색으로 된 봉이랑 끝에 플라

스틱 노브 있죠? 그것들을 돌리면 아주 조금씩 높이 조절이 됩니다.) 비트의 높이 조정을 매우 편하게

해줍니다. 플런지 라우터의 장점은 훨씬 더 많겠지만, 제가 아는 것은 여기까지입니다.^^

 

   

 

 

 

 

 

 

 

 

 

 

 

 

 

 

 

 

 

2. Fixed base 라우터

또 다른 타입으로 fixed base라우터가 있습니다. 비트의 높낮이 조절은 라우터 작업 전에 미리 해야 합

니다. 라우터 테이블용으로 보통 쓰이며, 개인의 작업 목적에 맞춰서 손으로 들고 쓸때도 많이 있습니

다. 라우터가 워낙 종류도 많고, 저마다의 개성이 있기 때문에, 제일 좋기로는 여러가지 모델을 써보고,

자기에게 잘 맞는 기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겠죠. 아무리 좋은 기계로 정평이 나 있어도 자신에게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면 아닌겁니다.  

 

 

 

 

 

 

3. 2 base or 3 base 라우터 세트

요즘 많이 보이는 2 base 혹은 3 base 라우터 세트 입니다. 저는 보쉬와 포터케이블 2베이스 세트를

 써봤는데요, 이러한 멀티 베이스의 목적은, 모터 하나로 라우터 두개의 효과를 보자는 것이겠죠. 물론

뺐다꼈다 하기 쉽고요..정말 쉽습니다. 일반적인 쓰임새는,  fixed base는 베이스만 라우터 테이블에 달

아 놓고 plunge베이스는 손으로 들고 할때 사용하게 됩니다. 좀더 여유가 있다면, Fixed base 라우터

를 하나 더 장만하여 라우터 테이블용으로 쓰고, 이러한 2 base는 다른 개별적인 작업을 위해서 쓰면

더 좋겠죠..  

또한, 요즘에 나오는 이러한 2 base 라우터들은 대부분 2 1/4 마력으로, 테이블 라우터에는 조금 약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작업에는 상관 없지만, frame & panel 비트등 직경이 큰 비트를 사용할때에는

아무래도 3마력 정도는 되어야 안정적인 작업을 할수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4. 라우터의 생김새

 

일단 개괄적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은 그치고요, 우선 첫번째로 라우터란 기계가 어떻게 생긴 것인지 보

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이미지는 The art of woodworking - portable power tool이란 책에서 가져

왔습니다. 여기에도 몇가지 기본적인 내용들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일단 두가지 타입의 라우터에 대

해서 간단하게 이야기 해 보 이미지 입니다. 포터케이블 모델이네요..위에 그림이 fixed base에 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모습, 아래 그림이 plunge base 입니다. 적절한 우리나라말 명칭이 없어서 그림에 나온

명칭을 그대로 쓰겠습니다.  

우선 fixed base 부터..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갑니다.

 

 

1) switch : 여러가지 라우터 모델들마다 다르겠죠..근데, 이 위치가 무척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저 개

인적으로는, 라우터 핸들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 까지 손가락이 닿느냐 안닿느냐..물론 닿는게 좋

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용자 마다 차이점이 있겠죠. 위급상황에서 급하게 끄기 편하면 되겠

죠.

2) Depth adjustment ring : 비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fixed base 라우터는 이러

한 방식으로 돌려가면서 높이 조정을 하는 것 같습니다.

3) Handle : 손잡이 입니다. 이것도 사람마다 취향을 고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잡았을 때 편하고 안

정감을 준다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4) Collet : 콜렛이죠..라우터 비트를 꽉 물어주는 기능을 합니다..아주 중요합니다. 라우터 비트를 제대

로 꽉 물어 주어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겠죠. 콜렛의 모양은 브랜드 마다 몇가지 다른 타입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알아야 할 것은, 이러한 콜렛의 내부 사이즈에 따라서 물릴수 있는 비트가 달라진 다는 것. 보

통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라우터들에는 기본적으로 12mm짜리 콜렛이 달려 있고요(국산, 외제이되 국

내에서 정식으로 수입 판매되는 것들), 미국에서는 기본 사이즈가 1/2인치 입니다. 당연히 호환이 안되

죠. (트리머의 기본 콜렛은 6mm이고요, 미제는 1/4 인치 입니다.) 보통 비트를 콜렛에 삽입해서 너트를

 이용해서 꽉 조여주게 되는데, 이때 비트를 너무 깊숙히 넣어도 안되고(사실 힘듬) 너무 짧게 넣어도 안

됩니다. 보통 권장하는 것은 비트를 콜렛 바닥에 끝까지 넣고 한 1mm 정도 도로 뺀 상태에서 조여줘야

합니다. 근데, 솔직히 라우터 테이블에서 모터를 직접 빼고 작업대 위에서 비트를 바꿔끼지 않는이상 이

렇게 조절하기가 쉽지 않죠... 하지만 안전한 작업을 위해서 이러한 것들을 지키는 것이 좋겠습니다.

국내에서 구입한 라우터라도 인치콜렛을 하나 가지고 있으면, 라우터 비트 선택에 대해서 엄청 자유로

와 지겠죠..요즘에 와서 여러가지 다양한 비트들이 국내에서도 유통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마존 같은 데

서 보듯이 그다지 많이 다양하지는 않습니다. 가장 좋기는 라우터 두어대를 가지고 한대는 인치비트용,

한대는 mm비트용으로 사용하면 좋겠지만요.

5) Base plate clamp screw : 이 모델의 경우(보쉬 2베이스 라우터의 fixed base도 같은 방식) 이

screw를 풀러서 베이스와 모터부분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풀려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비트 높이

를 맞춘 다음에 높이 고정을 위해서 잠그게 됩니다. 보쉬 것은 상당히 편리하게 되어 있더군요.

6) Base plate : 보통 fixed base라고 걍 불립니다. 모터를 여기에다 끼우면 fixed base 라우터가 되는

거죠..쉽게. 보통, 이 베이스 부분만 라우터 테이블의 아래에다가 부착해 놓고 나서 모터를 뺐다꼈다 하

게 됩니다..투 베이스 라우터 세트를 이용할 경우에.. 밑판 모양은 주로 원형이 많이 있지만, 라우터 모

델에 따라서 원형에 한쪽 혹은 양쪽 부분이 직선모양으로 되어있는 것들도 있습니다.(맨 위에 보쉬

2000 모델) 그렇게 직선으로 되어 있는 것들은 가이드를 대고 움직일 경우에 좀더 낫겠죠. 하지만 이것

역시 개인의 선택의 차이입니다.

7) Sub base : 이것은 보통의 라우터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고, 무궁무진한 응용력으로 여러가지 형

 

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나옵니다..물론 합판이나 좀더 좋은 재료로 자작할 수도 있고요..많이들 아크릴

 

로 제작합니다. 라우터 테이블 제작시에는 테이블위에 네모난 구멍을 뚤어 놓고, 라우터에는 보통 직사

 

각형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라우터 베이스에 달아서 끼우는 식으로 많이 하죠. 나중에 보여드를 라

 

우터 악세사리에 사진을 참고하세요.


근데,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보통 라우터 베이스의 바닥판 모양과 똑같이 나

 

오는 것 같습니다. 원형이면 원형, 한쪽이 직선이면 직선.(물론 아닐 경우도 있음) 라우터 베이스 부분과

 

는 볼트로 연결됩니다.

 

 

 

 

 

 

 

 

 

 

 

 

 

 

 

 

 

   

 

 

 

 

 

 

 

 

 

 

 

 

 

 

 

 

 

 

 


그 다음으로 플런지 베이스 입니다. 이번엔 시계방향으로 돕니다..

 

 

 

1) Plunge base plate : plunge base 입니다. 모터를 끼워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딱 봐도 라우터의 모

터가 끼워진 상태로 위아래 반복운동을 할 수 있을것 처럼 생기지 않았습니까? 양쪽에 보면 두개의 기

둥을 타고 왔다갔다 하는 것입니다. 플런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저 오르내림이 부드러워야 합니

다. 뻑뻑하면 될것도 안되죠...

2) Depth stop bar : 이것을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가공될 홈의 깊이를 설정하게 됩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나중에 설명 드리죠. 간단히, 이 bar의 맨 밑에부분과 Turret stop(높이가 여러개인, 돌릴 수 있

음)의 높이 차이가 바로 가공될 홈이 깊이와 같습니다.

3) Depth scale stop clamp : 위 depth stop bar를 고정시키는 용도입니다.

4) Depth scale : 가공 깊이를 조절하는 눈금입니다.

5) Plunge lock knob : 플런지 기능을 제어하는 knob 입니다. (예를 들어서 20mm의 최종 홈을 판다고

하면) 위에 설명한 depth stop bar의 위치를 20mm에 딱 맞게 고정을 한 다음에 실질적으로 홈파기 작

업을 할 때에는, 이 20mm를 단숨에 파지 못하므로 약 세번정도에 걸쳐서 높이 조절을 하면서 파 나가게

됩니다. 이 중간중간 높이 조절을 바로 이 lock knob이 있음으로 해서 가능해 집니다. 맨 처음 부터는...

대략 눈짐작으로 내려서 이 knob을 고정 시켜 놓고 홈파고, 다시 라우터 비트를 좀더 내려서 잠그고 홈

파고, 마지막으로 stop bar가 Turret stop에 닿을때까지 내려서 마지막 컷을 하게 됩니다..

이 plunge lock knob도 라우터 모델에 따라서 여러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자신에게 편한 타입을 고르

는 것이 좋겠죠. 또한, 이 lock 기능이 정 반대로 작동하는 모델도 있습니다. 보쉬 1617 EVS의 경우, 손

잡이를 눌러줘야 라우터가 내려가고, 이 손잡이를 놓으면 저절로 lock이 됩니다.

6) Turret stop / stop screw : 높이 세팅을 할때 depth stop bar와 맞닿는 부분입니다.

 


 

 

 

 

 

 

 

 

 

 

 

 

 

 

 

5. 여러가지 라우터 악세사리들

아마 라우터 만큼 악세사리가 다양하고 많은 공구가 더 있을지 모르겠네요...너무 많아서 간단한 것들만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Wrenches 

라우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렌치 입니다. 보통 비트 교체시에 렌치 하나는 모터의 축을 잡고 또하나

는 콜렛의 너트부분을 잡고 돌려서 비트를 빼거나 낍니다. 보통은 이렇게 렌치 두개로 비트 교환을 하는

데, 라우터 기종에 따라서는 렌치 하나만 있죠. 이럴 경우에는 콜렛 부근에 있는 스톱스위치를 한손으로

 꾹 누른 상태에서 콜렛 너트만 돌리면 되는 것도 있습니다. 이런 방식일 경우에, 비트를 풀때 너트를 힘

줘서 풀게 되면 너트가 돌아가는 상황에서 플런지 기둥을 칠 수가 있어서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

다.

 

 

2) 에지가이드 (여러가지 스타일의 에지 가이드 이미지 참고)

브랜드, 혹은 모델에 따라서 여러가지 스타일들이 나옵니다. 가이드에 맞추어 일정한 홈을 파거나 여러

가지 작업을 할때 자주 쓰입니다.  라우터를 살때 기본으로 주는 것도 있고 따로 사는 것도 있습니다. 또

포터케이블이나 보쉬의 좀 특별한 에지가이드 중에는 micro adjuster 기능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미세

조정 기능이죠, 있으면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 에지 가이드는 개인의 취향에 맞게 만들어서 쓰

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장부홈을 파기에 편하도록 만들어진 것도 있습니다. 부재의 양쪽에서 잡아주

기 때문에 보다더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겠죠.

 

 

 

 

 


 

 


 

3) Sub base plate 

 여러가지 모양의 plate가 있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일반적인 base plate로 보통은 라우터 테이블용으

로 쓰이게 됩니다. 라우터에 기본으로 달려있는 plate를 떼어내고 이것을 부착하죠.. 보통 이러한 라우

터 테이블용 plate는 아크릴로도 많이 씁니다.  두번째 사진은 원형으로 된 아크릴 plate 입니다. 이 아

크릴이 좋은점..라우터 테이블시에 이 플레이트를 떼어내지 않고 잘 보면서 비트 교환을 할 수도 있고

요..손으로 잡고 하는 작업을 할 때에도 작업물을 훤히 보면서 작업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마지막 것

은 offset sub base 인데요..보통 트리밍 작업을 할때(예를 들면 테이블의 옆면을 모양내기 할때) 기본

base plate로는 아무래도 약간 불안합니다. 작업하면서 흔들거릴 가능성이 있고, 어렵게 만들어 놓은

작품을 망치기라도 하면... 사진으로 보기에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나요..이것들 말고

도 이러한 base plate는 무궁무진하게 많이 팔기도 하고 제작 할수 잇기도 합니다

 

 

 

 

 

 

 

 

 

 

4) template guide 

 일자 비트나 도브테일 비트를 넣어서 템플릿 작업(본을 대어 놓고 쭉 따라가면서 고대로 모양 내는 작

업)을 할때에 사용을 합니다. 예를 들어 도브테일 지그를 사용하게 되면 이것이 꼭 필요합니다. 도브테

일 템플릿을 쭉 따라서 가공이 되기 때문에, 이 가이드가 있어야 겠죠. 이것역시, 모델별로 끼우는 방식

이 다르니 꼭 모델에 맞는 것을 사야 합니다.

 

5) inlay kit 

보통 이러한 세트(아래 그림)로 팔고 있습니다. 상감을 할 때에 주로 쓰입니다. 적절히 활용하여 테이블

 상판의 나비 상감을 쉽게 할수가 있습니다. 이것들만 있으면 나비가 바로 되지는 않겠죠? 기본적으로

 

 합판등으로 원하는 모양의 템플릿을 자작하여야 합니다. 

 

 

 

 

 

 

 

 

 

 

 

 

 

 

 

 

 

 

 

저 역시, 아직 취미로만 잠깐 잠깐잠깐씩 작업을 하는 처지라, 라우터의 활용에 대해서 많이 알지는 못

 

하지만 가능한 부분까지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라우터에 대한 자료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바른나무 DIY 가구 만들기
글쓴이 : 바른나무 원글보기
메모 :

'목재와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구 맞춤 3  (0) 2011.06.27
[스크랩] 물고기가 물을 만났습니다  (0) 2011.03.26
[스크랩] 바른나무 가구전 2009 - 2 부  (0) 2011.01.23
[스크랩] 반닫이  (0) 2011.01.14
[스크랩] 반닫이  (0) 2011.01.14